가장 많이 판매된 시리즈를 정리하고 있습니다.
이 번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맥주 브랜드입니다. (다음 편은 당연히 소주입니다)
2023년 기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맥주는 무엇일까요? 식품산업통계정보를 활용하여 살펴보았습니다.
가장 많이 판매된 치즈 브랜드는?
https://jiwonmoa.tistory.com/231
가장 많이 판매된 치즈는? 2023년 기준 치즈 판매 1위~10위 순위
가장 많이 판매된 시리즈를 정리하고 있습니다. 지난 글은 아래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이 번에는 가장 많이 판매된 치즈를 정리해보겠습니다. 2023년 기준 치즈 판매 1위부터 10위까지입니다.
jiwonmoa.tistory.com
- 1위 : 카스 (1조 5171억 5500만원)
- 2위 : 테라 (4697억 1500만원)
- 3위 : 필라이트 (2399억 400만원)
- 4위 : 아사히 (1976억 9500만원)
- 5위 : 켈리 (1760억 2500만원)
- 6위 : 클라우드 (1673억 5400만원)
- 7위 : 칭따오 (1130억 8500만원)
- 8위 : 하이네켄 (1086억 8600만원)
- 9위 : 하이트 (929억 4800만원)
- 10위 : 버드와이저 (916억 1300만원)
1위 카스

1위는 OB맥주의 브랜드 카스 맥주가 차지했습니다.
카스 맥주는 지난 해 매출 1조 5171억 5500만원을 달성하며 2위와 압도적인 매출의 차이를 보였습니다.
카스는 대중적인 브랜드로 한국의 라거 맥주는 대표하고 있습니다. 소맥을 마신다고 할 때 카스와 소주를 섞어 마실 정도로 카스는 브랜드 파워가 막강하기 때문에 현재로써는 부동의 1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2위 테라

2위는 하이트진로의 브랜드 테라입니다.
OB맥주의 카스가 역사가 깊은 반면에 맥주 테라는 2019년 3월에 생산된 제품입니다.
청정 라거라는 슬로건을 걸고 출시된 제품은 하이트 진로를 대표하는 하이트 맥주를 가볍게 제치고 2위를 차지했습니다.
2023년 매출은 4697억 1500만원입니다.
3위 필라이트

3위는 하이트진로의 브랜드 필라이트입니다. 지난 해 매출 2399억 400만원을 기록하면서 3위를 차지했습니다.
필라이트는 테라 보다 2년 더 빨리 출시된 제품입니다. 2017년에 출시된 필라이트는 발포주로 맥주가 아닙니다.
맥아 함량이 10% 미만인데 맥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알콜 도수가 4.5% 라서 저도주를 좋아하는 젊은 층에게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4위 아사히

4위는 롯데아사히주류의 아사히 맥주입니다.
아사히는 일본의 4대 맥주 회사 중 하나입니다. 일본의 4대 맥주는 아사히, 키린, 삿포로, 산토리인데 네 브랜드 모두 우리에게 익숙하지만 아사히는 특히 맥주로 친숙한 브랜드입니다. 일본 불매 운동 당시에는 매출이 감소하기도 했지만 아사히는 드라이 맥주로 인기가 높은 만큼 지난 해 매출 1976억 9500만원을 달성하여 4위에 랭크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제일 좋아하는 브랜드 중 하나가 아사히입니다.
5위 켈리

5위는 켈리 맥주가 차지했습니다. 켈리 맥주는 지난 해 매출 1760억원 2500만원을 달성했습니다.
켈리는 하이트 진로에서 2023년 4월, 지난 해 출시한 라거 브랜드입니다. 알콜 도수 4.5%로 기존 맥주 보다 0.1%가 낮습니다. 켈리 맥주는 인기 스타인 손석구를 모델로 삼으면서 프리미엄 맥아를 사용한 마케팅으로 젊은 층의 입맛을 사로잡았습니다.
하이트 진로 브랜드가 테라, 필라이트, 켈리, 하이트 등이 있는데 테라, 필라이트, 켈리는 합치면 거의 1조원에 육박합니다.
카스가 1조 5천억으로 상당한 격차를 보이고 있지만 하이트진로 브랜드가 젋은 층에게 사랑을 받고 있는 만큼 앞으로 수누이가 어떻게 될지는 알 수 없습니다.
6위 클라우드

6위는 롯데주류의 클라우드입니다. 클라우드 맥주는 2014년에 롯데주류에서 나온 라거 맥주입니다.
출시 초반 전지현을 모델로 사용하여 인기를 얻었던 브랜드로 오리지널 클라우드는 5%의 맥주입니다.
클라우드는 기존 브랜드에 비해 조금 높은 가격대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차이가 크지 않다고 느낄 정도라 많은 소비자로부터 선택을 꾸준히 받고 있습니다. 지난 해 매출은 1673억 5400만원을 기록했습니다.
7위 칭따오

7위는 칭따오 맥주입니다. 칭따오 맥주는 칭다오맥주고분유한공사에서 생산되는 제품입니다.
칭따오 맥주는 1903년 독일 기술로 시작된 브랜드였습니다. 역사가 100년이 넘을 정도로 역사가 깊은 맥주이며, 세계적으로도 사랑을 받는 브랜드입니다. 한국에서는 2022년에 수입 맥주 중 1위를 차지했습니다. SNL 코리아의 희극배우 정성훈이 유행어로 유행시키면서 많은 사랑을 받기도 했습니다. 현재는 아사히에 밀려 자리를 내주었지만 2023년 1130억 8500만원을 기록할 정도로 꾸준히 사랑받고 있습니다.
8위 하이네켄

8위는 하이네켄입니다. 하이네켄은 네덜란드를 대표하는 맥주 브랜드입니다.
1873년에 출시되었을 정도로 역사와 유래가 깊은 맥주로 우리나라에는 1987년부터 수입되어 판매되기 시작했습니다.
개인적으로 사회초년생으로 회사에 입사할 당시 즐겨먹었던 맥주 중 하나가 하이네켄이었습니다. 하루 일과를 마치고 하이네켄을 마시는 것이 낙이었는데 지금은 국내외 여러 브랜드에 밀려 상대적으로 지위는 낮습니다.
지난 해 매출 1086억 8600만원을 보였는데 매출은 낮지만 여전히 수입맥주 중에서는 아사히, 칭따오와 함께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습니다.
9위 하이트

9위는 하이트 진로의 하이트 맥주입니다. 순위를 보면서 하이트가 왜 없나 하셨을 수 있습니다.
하이트는 진로와 합병하면서 새로운 브랜드를 출시하여 제품군을 확대했습니다. 앞서 보았던 테라, 필라이트, 켈리가 모두 하이트 진로의 브랜드이다보니 하이트는 상대적으로 점유율이 낮아졌습니다.
하이트는 지난 해 매출 929억 4800만원을 기록했는데 나머지 브랜드와 모두 합치면 하이트진로의 맥주 브랜드는 1조원에 가까운 매출을 보이고 있습니다. 1위가 OB맥주의 카스라면 2위는 당연 하이트 진로입니다.
10위 버드와이저

10위는 버드와이저입니다. 해외에서는 버드와이저의 인기가 매우 높습니다.
버드와이저는 미국에서 1876년부터 생산, 판매되고 있는 제품으로 모기업은 벨기에입니다.
미국을 대표하는 라거 맥주로 우리나라에서도 높은 인지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버드와이저는 2023년 매출 916억 1300만원을 기록했습니다.
아사히, 칭따오, 하이네켄에 이어 버드와이저가 수입맥주에서는 4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아사히 맥주는 매출이 유동적이어서 버드와이저가 3위가 되기도 하고 4위로 밀리기도 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상반기 코스피 코스닥 가장 많이 오른 종목 1위~50위 (3) | 2024.07.22 |
---|---|
소상공인 온라인 쇼핑몰 지원사업 (전담셀러 매칭지원사업) 추천드려요 (1) | 2024.07.08 |
가장 많이 판매된 치즈는? 2023년 기준 치즈 판매 1위~10위 순위 (0) | 2024.06.23 |
2023년 지난 해 가장 많이 판매된 비스킷은? (탕비 과자 101) (1) | 2024.06.19 |
가장 많이 판매된 과자 1위부터 10위까지 (2023년 기준) (0) | 2024.06.18 |